보험 가입시 손해보지 않는 5가지 필수 특약

보험은 한번의 계약을 통해 긴 기간동안 보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가입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보험 가입 시 손해보지 않는 필수 특약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관련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일상생활 배상 책임 특약 상대방의 신체를 다치게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아파트, 빌라 등에서 누수로 인한 피해, 자녀의 재물 손괴에 대한 배상 등 하나의 특약으로도 일상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가지 책임에 대해 보상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하나만 가입하더라도 본인 뿐만 아니라 배우자, 동거 친족까지 보상받을 수 있고, 보험료도 월 1,000원 정도로 매우 저렴합니다. 그리고 가족당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특약을 가입한다면 1억 이상의 손해가 발생했을 때, 한도 이상의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특약을 가입할 때 가족당 한개가 아닌, 가족 구성원 당 한개씩 가입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요즘은 종합보험이나 운전자 보험에 가입할 때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을 끼워 넣을 수 있으니, 추가로 가입할 보험이 있다면 꼭 특약을 넣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질병 후유장해 특약 앞서 설명한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이 타인의 신체 및 재물 손괴에 대해 종합적으로 보장한다면 '인체'에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과 비슷한 결의 특약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질병 후유장애 특약입니다. 이 특약 하나로 보험사에서 나누어 놓은 신체 13부위에 골고루 보장이 가능합니다. 신체 부위에서 일반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팔, 다리, 목, 허리 등 이외에도 몸 속 장기나, 신경 및 정신행동 까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질병 후유장해 특약은 범용성이 큰 특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 주의할 점은 보장 범위가 넓어서 50대 이후 고 연령자 가입 시 가입 한도가 낮고, 병력이 있다면 가입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80세, 90세, 100세 등 만기별로 보험료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효율적인 보험 가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연...

잇몸 건강을 위해 꼭 해야하는 것은?

대규모 추적 연구 결과 잇몸병이 있으면 당뇨병, 당뇨 합병증, 심혈관질환, 뇌졸중, 암 등의 위험이 최소 14%에서 최대 700%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렇게 중요한 잇몸 건강을 어떻게 지켜야 할까요?

40대 이후 치아건강

치아 건강이 어느정도 타고나는 것도 있지만,
40대 이후로는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40대가 되면 구강 내에도 노화현상이 찾아오는데
입안 상피조직이 얇아지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집니다.

또한 침 분비도 줄어들어 구강이 건조해지고
이에 따라 자정작용도 약해집니다.

따라서 40대부터는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따라
치아 건강이 달라집니다.

잇몸 질환이 생기는 이유

치주인대-치은-치조골

잇몸은 치아 아래 붉게 보이는 치은,
치아를 둘러싼 치주인대,
치조골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음식을 먹으면 미세한 음식 찌꺼기들이
세균과 섞여서 치아와 잇몸 사이에 남게 되는데,
이를 치태라고 부릅니다.

이 치태가 오랜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쌓이면
단단한 치석으로 변하고,
세균이 살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세균이 많아지면 염증이 생겨
잇몸과 잇몸뼈가 손상되고
결국 치아를 잃게 됩니다.

이와 같은 잇몸병은 대부분 오랜 기간에 걸쳐
만성적으로 진행됩니다.
초반에는 피가 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일정 기간 이후에 아무런 문제가 없어서
많은 분들이 치료 시기를 놓쳐서
발치를 하는 상황까지 가게 됩니다.

게다가 잇몸병은 당뇨병의 
6번째 합병증이라 불릴만큼 
당뇨병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더욱 심각한 문제입니다.

잇몸 건강을 지키는 방법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절대로 하면 안 되는 것과
꼭 해야할 것들이 있습니다.

절대 하면 안되는 것은
바로 침을 습관적으로 뱉는 것입니다.

침은 우리 몸의 건강을 위해 굉장히 중요한데
소화 작용을 돕고, 피부의 종양을 없애줍니다.

실제로 침에는 소화 효소인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면역물질,
항노화 호르몬 파로틴,
살균작용을 하는 라이소자임 등이 들어있습니다.

따라서 침이 잘 분비되고 삼켜져야
소화 흡수가 원활해져서 위장의 부담이 줄어들고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의 유해물질을
정상적으로 해독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꼭 해야할 것은
소금물 가글입니다.

여러 연구들로 밝혀진 사실에 의하면
소금물로 가글을 할 시
구강 내 박테리아들의 성장이 억제되고
소염, 살균 작용으로 잇몸병을 예방해주며,
치태 축적도 억제해 구강 질환을 예방해줍니다.

잇몸의 붓기나 통증이 있는 경우
소금물의 삼투압 현상 유발을 통해
3~4일에정도 안에 통증을 완화시키기도 합니다.

이렇게 세균 억제에 가장 적합한 
소금물의 농도는 1~3%이고,
일반 소금이나 천일염보다
죽염이 염증 억제에 더 효과적입니다.

단, 소금물 가글 이후 짠맛을 없애려고 
입 안을 헹구면 소금물 가글의 효과를 볼 수 없고,
최소 5분 이상은 헹구지 않고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