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가입시 손해보지 않는 5가지 필수 특약

보험은 한번의 계약을 통해 긴 기간동안 보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가입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보험 가입 시 손해보지 않는 필수 특약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관련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일상생활 배상 책임 특약 상대방의 신체를 다치게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아파트, 빌라 등에서 누수로 인한 피해, 자녀의 재물 손괴에 대한 배상 등 하나의 특약으로도 일상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가지 책임에 대해 보상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하나만 가입하더라도 본인 뿐만 아니라 배우자, 동거 친족까지 보상받을 수 있고, 보험료도 월 1,000원 정도로 매우 저렴합니다. 그리고 가족당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특약을 가입한다면 1억 이상의 손해가 발생했을 때, 한도 이상의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특약을 가입할 때 가족당 한개가 아닌, 가족 구성원 당 한개씩 가입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요즘은 종합보험이나 운전자 보험에 가입할 때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을 끼워 넣을 수 있으니, 추가로 가입할 보험이 있다면 꼭 특약을 넣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질병 후유장해 특약 앞서 설명한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이 타인의 신체 및 재물 손괴에 대해 종합적으로 보장한다면 '인체'에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과 비슷한 결의 특약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질병 후유장애 특약입니다. 이 특약 하나로 보험사에서 나누어 놓은 신체 13부위에 골고루 보장이 가능합니다. 신체 부위에서 일반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팔, 다리, 목, 허리 등 이외에도 몸 속 장기나, 신경 및 정신행동 까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질병 후유장해 특약은 범용성이 큰 특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 주의할 점은 보장 범위가 넓어서 50대 이후 고 연령자 가입 시 가입 한도가 낮고, 병력이 있다면 가입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80세, 90세, 100세 등 만기별로 보험료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효율적인 보험 가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연...

윈도우 OS 버전별 차이점(처음사용자용, FPP, DSP, OEM등)

 컴퓨터나 노트북을 처음 구매할 때 윈도우 운영체제를 직접 설치하는 경우(Free Dos) 인터넷에서 윈도우 OS를 직접 구매하여 설치해야 하는데요, 그런데 FPP, 처음사용자용, DSP등 여러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서로 다른 버전들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윈도우의 여러가지 버전

윈도우 처음사용자용(FPP)

처음사용자용과 FPP는 같은 뜻입니다.
FPP(Full Package Product) 버전의 경우 제품 키가 있다면
하나의 PC에 귀속되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OS입니다.

단, 하나의 제품 키로 2개 이상의 PC에
윈도우를 설치할 수는 없습니다.

제품 키만 가지고 있다면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기에 
윈도우의 여러가지 버전들 가운데 
가장 가격이 비쌉니다.

윈도우 ESD (Electronic Software Distribution)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지에서 설치 파일을 직접 받아서
윈도우를 설치한 뒤 라이센스 키만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이메일로 라이센스 키를 받아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파일을 홈페이지에서 
자유롭게 내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분실 우려가 없습니다.

윈도우 DSP [구 버전] = COEM [현 버전]

하나의 PC에 설치하면 메인보드에 저장되어
해당 PC에 귀속됩니다.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하거나 
메인보드를 교체하면
윈도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영구적인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격은 FPP 버전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윈도우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노트북이나 PC제조사에서 기기를 구매할 때
Free Dos가 아닌 윈도우가 설치된 버전으로 구매시
OEM 버전의 윈도우가 설치됩니다.

즉, PC 및 노트북을 판매하는 기업에서
소비자에게 윈도우가 포함된 기기를 판매할 때
사용되는 윈도우 버전입니다.

따라서 일반 소비자는 구매가 불가능하고
COEM(구DSP)버전과 같이 PC에 종속되며,
윈도우 인증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기기의 제조사에 직접 문의해야 합니다.

저렴한 윈도우 정체는?

윈도우10-OS
새로운 PC나 노트북을 구매할 때
10~100만 원 단위의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15만 원 이상의 윈도우 OS 구매가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위와 같이
3만 원대의 가격으로 윈도우를 판매하는 곳이 있습니다.

이렇게 다른 제품들과 비교해서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당연히 정품이 아닌 불법 키이기 때문입니다.

저렴한 윈도우 OS는 대부분 국가 기관
또는 기업에서 사용하는 고장난 PC의
라이선스를 가져와 재판매하는 것입니다.

즉, 이미 폐기된 라이센스이기 때문에
사용중이나 업데이트 중 인증이 해제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업데이트 기능을 끄는 편법을 이용하곤 하지만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지 않으면 보안에 취약점이 생겨서
악성코드에 따른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저렴한 불법 키보다 
정품 라이선스를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