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가입시 손해보지 않는 5가지 필수 특약

보험은 한번의 계약을 통해 긴 기간동안 보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가입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보험 가입 시 손해보지 않는 필수 특약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관련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일상생활 배상 책임 특약 상대방의 신체를 다치게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아파트, 빌라 등에서 누수로 인한 피해, 자녀의 재물 손괴에 대한 배상 등 하나의 특약으로도 일상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가지 책임에 대해 보상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하나만 가입하더라도 본인 뿐만 아니라 배우자, 동거 친족까지 보상받을 수 있고, 보험료도 월 1,000원 정도로 매우 저렴합니다. 그리고 가족당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특약을 가입한다면 1억 이상의 손해가 발생했을 때, 한도 이상의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특약을 가입할 때 가족당 한개가 아닌, 가족 구성원 당 한개씩 가입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요즘은 종합보험이나 운전자 보험에 가입할 때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을 끼워 넣을 수 있으니, 추가로 가입할 보험이 있다면 꼭 특약을 넣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질병 후유장해 특약 앞서 설명한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이 타인의 신체 및 재물 손괴에 대해 종합적으로 보장한다면 '인체'에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과 비슷한 결의 특약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질병 후유장애 특약입니다. 이 특약 하나로 보험사에서 나누어 놓은 신체 13부위에 골고루 보장이 가능합니다. 신체 부위에서 일반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팔, 다리, 목, 허리 등 이외에도 몸 속 장기나, 신경 및 정신행동 까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질병 후유장해 특약은 범용성이 큰 특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 주의할 점은 보장 범위가 넓어서 50대 이후 고 연령자 가입 시 가입 한도가 낮고, 병력이 있다면 가입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80세, 90세, 100세 등 만기별로 보험료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효율적인 보험 가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연...

배당주 추천 ALLY : 워렌 버핏이 투자한 미국의 카카오뱅크

ALLY는 쉽게 말해 한국의 카카오뱅크와 같은 순수 디지털 은행입니다. 2022년 상반기에 워렌버핏의 버크셔가 공격적으로 매수를 진행했던 ALLY는 버핏의 매수 시점보다 주가가 15% 정도 하락한 상황입니다. 배당주로서 좋은 투자처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은행 관련 주식은 
금리인상 시기에 수혜를 받는 대표적인 자산입니다.
가파른 금리 인상시기가 한풀 꺾이긴 했지만,

자산배분 관점에서 우량한 은행주를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는 것은 
보다 효율적인 투자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버핏-Ally

ALLY 기본 정보

ALLY는 미국의 GM 고객들에게 
자동차 대출을 제공하는 
GMAC라는 자회사로 1919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약 100년동안 자동차 뿐만 아니라 
모기지 대출이나 소매금융, 기타 부동산업으로 확장하였지만, 
2009년 금융위기 당시 파산 직전까지 다다른 
GM그룹에서 별도 분리되었습니다.

금융위기 당시 ALLY는 미국 정부로부터 
약 20조원의 지원금을 받으면서 기업 수명을 연장했지만
5년만에 25조원을 되갚으면서 
회복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습니다.

ALLY는 구조조정을 통해 비핵심 자산을 매각하고,
사모펀드의 전문성 높은 경영 개선과정을 거치며
2014년에 상장되었습니다.

과거에는 GM그룹 아래에서 
자동차 대출을 제공하는 캐피탈 회사 역할을 했다면, 
현재는 지점이 존재하지 않는 순수 디지털 은행으로써 
미국 최대 규모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ALLY 배당

ALLY의 배당 수익률은 현재 약 3.5%로,
수익률 자체는 높지 않은 편이지만,
아래 배댕금 지급 추이에서 확인할 수 있듯,
굉장히 가파르게 배당 성장이 
일어나고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ALLY-배당


이렇게 가파른 배당상승과 더불어
주주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점은
배당금의 상승폭이 무색할 정도의
공격적인 자사주 매입입니다.

아래 표를 통해 ALLY가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을 위해 
지출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한 눈에 보기에도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주환원에 굉장히 적극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ALLY-자사주매입

위와 같이 주주 환원을 위해 많은 돈을 사용하면서도
워렌 버핏의 선택을 받은 금융회사답게
탄탄한 이익 성장을 기반으로 
주주환원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ALLY 재무 성적표

1) 매출 [연 평균 5.5% 성장]
2016년 : $6,289
2017년 : $5,861
2018년 : $5,912
2019년 : $6,379
2020년 : $6,200
2021년 : $8,671

2) 이익 [연 평균 15..6% 성장]
>플랫폼 비즈니스의 영업 레버리지 효과로
  매출 성장보다 가파르게 성장함
2016년 : $1,081
2017년 : $926
2018년 : $1,263
2019년 : $1,721
2020년 : $1,986
2021년 : $3,008

3) 주식 수 감소 [연 평균 6% 감소]
> 적극적인 자사주 매입
> 한 주당 이익 연 평균 22.9% 증가
2016년 : 482
2017년 : 455
2018년 : 428
2019년 : 395
2020년 : 377
2021년 : 365


물론 ALLY에도 배당주로서의 단점은 남아 있습니다.
현재 기준 3.5%의 상대적으로 낮은 배당률,

그리고 자동차 대출의 높은 의존도로 인해
관련 이슈에 크게 주가가 요동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최근 미국 중고차 시장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주가가 $25까지 하락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은행의 장점을 살린 여러 플랫폼 사업 확장, 
적극적인 주주환원으로 인한 
주식 가치 상승 및 배당금 상승 등의 
여러가지 장점들은 
충분히 투자할만한 매력을 느끼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