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주는 배당주로서 자주 고려되는 산업 중 하나입니다. 탄탄한 고객층과 비즈니스로 배당 안정성은 높지만 성장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데, 4차 산업혁명이 활발히 진행중인 지금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통신타워 리츠 CC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CI 기본 정보
CCI(Crown Castle)는 1994년에 시작되어
1998년도 1400개의 타워 규모로 상장되었습니다.
사장 이후 수 많은 M&A로 몸집을 키웠고,
2014년 리츠로 전환되었습니다.
2015년 이후로는 광섬유 기업과의
M&A도 추가로 진행하여,
현재는 100조원 이상의 가치를
인정받는 대기업으로 거듭났습니다.
CCI는 AMT(아메리칸 타워)와 같이
Infrastructure 리츠로 구분되며,
통신타워를 통한 무선 인프라를
제공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통신타워 뿐만 아니라
Small Cell과 광섬유 사업도
함께 진행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Small Cell 사업
Small Cell이란 통신타워에
추가로 적용되는 기술로,
더 빠르고 많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입니다.
위 그림에 왼쪽처럼,
통신타워만 단독으로 사용하면
데이터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무선데이터 통신에 혼잡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오른쪽 그림처럼 Small Cell을 추가로 설치하여
데이터 통신을 더욱 원활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Small Cell은 야외, 실내 구분없이 설치가 가능해서
보통 규모가 큰 대형 통신타워보다
더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CCI 비즈니스
Small Cell은 나쁘지 않은 수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 차트를 보면
임차인이 증가할수록 수익률도 함께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세 명의 임차인으로 10% 중반대의 수익률이면
AMT의 통신타워 수익률보다는 떨어지는 수준입니다.
또한, 한번 Small Cell을 만들고 나면,
이후에는 최소한의 유지보수 비용만 들어간다는 것은
통신타워와 비슷한 장점입니다.
이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계약이
10년 정도의 장기 계약이라는 것과
기존 계약이 만료되어도
임차인의 98~99%가 그대로 계약을 연장한다는 점은
비즈니스에 안정성을 더해주는 요소입니다
CCI의 성장성 또한 긍정적인데,
특히 5G는 더 빠르고 많은 데이터를 전달하는 대신
통신 거리와 전달률이 떨어져서
Small Cell과 광섬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Small Cell은 스마트시티 건설에서도
필수적 요소로 꼽히는데,
수 많은 자율주행 교통 수단이나,
각종 IoT 기기들,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간 소통도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CCI 영업성적
CCI의 매출의 90%가
임차인들의 렌트비용에서 나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통신타워 사업 69%
Small Cell + 광섬유 사업31% 입니다.
특히 광섬유 사업은 통신사 뿐만 아니라
국가기관, 교육, 헬스케어, 금융기관 등에서
나오는 매출이 큽니다.
즉, CCI는 통신사 이외에도 더 다양한 고객들,
특히 정부기관과 같은 안정적인 매출처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69%의 비중을 차지하는 통신타워 비즈니스는
버라이즌, 티모빌과 같은 통신 3사에서
전체 매출의 75%를 낼 정도로
집중도가 높은 편입니다.
영업 안정성
CCI의 통신타워 사업부는
임차인의 재계약 평균 잔여기간이 약 6년으로,
AMT와 비슷한 수준이며,
광섬유 사업부의 평균 재계약 기간은 4년입니다.
2010년 이후 T-Mobile과 Sprint와의 합병으로 인해
단기적 매출 감소가 발생했지만
결국 5G 도입으로 인해 매출 증가세로 돌아선 상황입니다.
CCI의 매출과 이익은 탄탄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현금흐름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다만, 과거 대규모 M&A가 있을 때마다
큰 현금 변동이 있었습니다.
특히 2017년에는 CCI 최대 규모의 M&A가 있었는데,
Wilcon과 Lightower라는 두 개의 광섬유 회사를
각각 1, 2분기에 인수하면서 광섬유를 확보합니다.
이렇게 큰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
CCI의 차입금이 증가했고, 몇 번의 유상증자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5년 이내에 유상증자가 없었고
차입금 비율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CCI 배당
CCI의 배당성적은 매년 탄탄하게 증가하며
경영진의 목표대로 연 7~8%의
배당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배당성향은 80~90%를 유지하다가
현재 79%로 약간 떨어진 상황인데,
하지만 여전히 50~60%의 산업 평균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CCI는 성장률이 낮은 편이긴 하지만
그만큼 채무부담과 금리가 낮기 때문에
안정적인 배당 지급이 가능합니다.
현재 지급하고 있는 4% 중반대의
배당수익은 아쉬운 부분이지만,
꾸준한 배당성장, 5G 수혜 등을 고려하여
투자를 생각해봐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