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가입시 손해보지 않는 5가지 필수 특약

보험은 한번의 계약을 통해 긴 기간동안 보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가입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보험 가입 시 손해보지 않는 필수 특약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관련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일상생활 배상 책임 특약 상대방의 신체를 다치게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아파트, 빌라 등에서 누수로 인한 피해, 자녀의 재물 손괴에 대한 배상 등 하나의 특약으로도 일상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가지 책임에 대해 보상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하나만 가입하더라도 본인 뿐만 아니라 배우자, 동거 친족까지 보상받을 수 있고, 보험료도 월 1,000원 정도로 매우 저렴합니다. 그리고 가족당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특약을 가입한다면 1억 이상의 손해가 발생했을 때, 한도 이상의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특약을 가입할 때 가족당 한개가 아닌, 가족 구성원 당 한개씩 가입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요즘은 종합보험이나 운전자 보험에 가입할 때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을 끼워 넣을 수 있으니, 추가로 가입할 보험이 있다면 꼭 특약을 넣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질병 후유장해 특약 앞서 설명한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이 타인의 신체 및 재물 손괴에 대해 종합적으로 보장한다면 '인체'에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과 비슷한 결의 특약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질병 후유장애 특약입니다. 이 특약 하나로 보험사에서 나누어 놓은 신체 13부위에 골고루 보장이 가능합니다. 신체 부위에서 일반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팔, 다리, 목, 허리 등 이외에도 몸 속 장기나, 신경 및 정신행동 까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질병 후유장해 특약은 범용성이 큰 특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 주의할 점은 보장 범위가 넓어서 50대 이후 고 연령자 가입 시 가입 한도가 낮고, 병력이 있다면 가입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80세, 90세, 100세 등 만기별로 보험료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효율적인 보험 가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연...

배당 위주 투자 시 꼭 확인해야 할 지표들 (EPS, EBITDA, 차입금, 배당성향 등등)

 2022년 지속적인 금리상승으로 인해 주식시장은 1년 내내 하락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배당 투자는 꾸준한 현금흐름을 통해 더 편안한 마음으로 투자를 지속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렇다면 배당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짤때 기업의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할까요?

어떤 기업에 투자를 할 때, 
해당 기업의 재무상태 외에도 대내외적인 상황이나, 
경제 및 정치적 이슈 등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일반적인 투자자가 
모든 상황들을 고려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투자 전 꼭 참고해야하는 지표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IAD 배당수익률

배당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짤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배당 수익률입니다.

하지만 그냥 배당수익률이 아닌
IAD 배당수익률을 확인해야 합니다.
IAD 배당수익률은 가장 최근 지급된 배당금에 
분기배당이라면 x4, 월배당이라면 x12를 계산해 
연간 배당수익률을 구하는 방식입니다.

즉, 최근 지급된 배당금을 기준으로 
연간 배당 수익률을 계산하는 것인데, 
이 방법을 통해 최근 유의미한 배당삭감이 
있었던 기업들을 걸러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 가격의 기업 A가 
매달 1$의 배당금을 지급하다가 
가장 최근 배당금을 50% 삭감하여 0.5$를 지급했다면, 

IAD 배당수익률은 6%이지만 
일반적으로 계산하면 12%에 가까운 배당수익률이 계산되고 
이는 정확한 수치를 왜곡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배당성향 및 배당성장

배당성향이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에서
주주들에게 지급하는 배당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배당성향이 낮을수록 배당금을 지급에 안정성이 있고,
앞으로 배당금이 성장할 여력이 충분하다는 의미입니다.

배당 성향을 계산하는 방법은 1주당 배당금(Payout)을 
주당 순이익(EPS)로 나누면 됩니다. [Payout/EPS]

단, 리츠의 경우 배당성향을 계산하는 방법이 다른데,
주당 순이익에서 감가상각 비용이 빠지기 때문입니다.

리츠가 소유한 건물도 감가상각을 적용받는데,
건물의 가치가 중장기적으로 하락하거나 소멸하는 것이 아니기에 
리츠의 배당성향을 계산하는 방식으로는 허점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리츠의 배당성향을 구할 때는
감가상각비를 제외한 FFO를 이용해야 하며,
계산식은 Div Rate / FFO 입니다.
해당 지표는 '시킹알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배당성장은 매년 기업이 지급하는 배당금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의미합니다.
아무리 현재 배당수익률이 높더라도 
배당성장 없이 유지되거나 오히려 삭감된다면, 
좋은 투자처라고 볼 수 없습니다.

어떤 회사에 취직했는데, 몇 년을 일해도 연봉상승은 없고 
오히려 급여가 삭감된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3. 차입금 및 유동자산

차입금은 쉽게 말해 '기업이 빌린 돈'입니다.
차입금의 규모가 클수록 앞으로 갚아야 할 돈이 많다는 의미이고
차입금 부담으로 인해 배당이 삭감될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차입금의 계산은 Net debt / EBITDA이며, 
차입금 배수가 x3 이하라면 선순위 자금조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굉장히 안정적인 기업 운영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안정적인 배당수익률, 배당성장 등을 유지하면서
차입금 배수까지 x3 이하인 기업은 많지 않기 때문에
동일 업종 기업들의 차입금 배수를 비교해보는 것이 더 합리적입니다.

유동자산은 기업의 시가총액 대비 
어느 정도 규모의 유동 가능한 자산이 있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이 수치가 높다면 현금과 같이 
바로 사용이 가능한 자산이 많다는 의미이고, 
그만큼 대내외적인 시장 상황으로부터 
보다 안정적인 기업 운영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4. 거래배수

거래배수란 기업이 현재 얼마나 
비싸게 거래되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배당 위주 투자는 성급히 주식을 사는것보다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 되었을때 , 
즉 배당수익률이 올랐을 때 
매수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도 매수하는 시점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익률이 차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비싸게 거래되는 
배당주를 구매하는 것을 피해야 하고, 
비싸게 거래되는지 아닌지를 알아야 합니다.

이를 확인하는 방법이 '거래배수', EV/EBIT입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비싸게 거래된다는 의미이며
최근 10년동안 해당 기업의 EV/EBIT, 
그리고 동일  업계의 EV/EBIT을 비교해서 
거래배수가 낮은 상태라면 그때 매수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당투자 지표 확인하는 방법

앞서 언급한 다양한 지표들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굉장히 확인할 것이 많아보이지만
우리가 투자 전 꼭 고려해야 하는 최소한이며,
어렵지 않게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Stockrow 사이트에 접속하여 
투자를 고려중인 기업을 검색한 뒤, 
Key Stats 탭과 Financial 탭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stockrow



1) 배당 수익률, 배당 성향, 배당 성장 > Key Stats

Key Stats 좌측 하단에 Dividends에서 
배당수익률 (Dividend Yield),
배당 성향 (Payout Ratio),
배당 성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ockrow-dividend

2) 유동자산 > Financial - Balance Sheet

Financial - Balance Sheet 탭에서
Quarterly를 Annual로 바꾼 뒤
Total Current Assets을 확인하면 됩니다.


3) 차입금, EV/EBIT > Financial - Metrics

Financial - Metrics 탭에서
Quarterly를 Annual로 바꾼 뒤

차입금(Net deb / EBITDA)
EV / EBIT을 확인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