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가입시 손해보지 않는 5가지 필수 특약

보험은 한번의 계약을 통해 긴 기간동안 보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가입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보험 가입 시 손해보지 않는 필수 특약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관련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일상생활 배상 책임 특약 상대방의 신체를 다치게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아파트, 빌라 등에서 누수로 인한 피해, 자녀의 재물 손괴에 대한 배상 등 하나의 특약으로도 일상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가지 책임에 대해 보상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하나만 가입하더라도 본인 뿐만 아니라 배우자, 동거 친족까지 보상받을 수 있고, 보험료도 월 1,000원 정도로 매우 저렴합니다. 그리고 가족당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특약을 가입한다면 1억 이상의 손해가 발생했을 때, 한도 이상의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특약을 가입할 때 가족당 한개가 아닌, 가족 구성원 당 한개씩 가입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요즘은 종합보험이나 운전자 보험에 가입할 때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을 끼워 넣을 수 있으니, 추가로 가입할 보험이 있다면 꼭 특약을 넣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질병 후유장해 특약 앞서 설명한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이 타인의 신체 및 재물 손괴에 대해 종합적으로 보장한다면 '인체'에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과 비슷한 결의 특약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질병 후유장애 특약입니다. 이 특약 하나로 보험사에서 나누어 놓은 신체 13부위에 골고루 보장이 가능합니다. 신체 부위에서 일반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팔, 다리, 목, 허리 등 이외에도 몸 속 장기나, 신경 및 정신행동 까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질병 후유장해 특약은 범용성이 큰 특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 주의할 점은 보장 범위가 넓어서 50대 이후 고 연령자 가입 시 가입 한도가 낮고, 병력이 있다면 가입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80세, 90세, 100세 등 만기별로 보험료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효율적인 보험 가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연...

재직자 노령연금 감액제도(국민연금 감액) 피하는 방법 : 연기연금

 국민연금에는 감액제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재직자 노령연금 감액제도'인데, 국민연금을 꾸준히 납입했더라도 수령 시기에 소득이 높은 경우 수령하는 국민연금이 깎이는 것입니다. 이렇게 불합리해 보이는 감액제도를 어떻게 피할 수 있을까요?

연금 감액제도

국민연금을 수령할 시기에 직장을 다녀서 근로소득이 있거나
사업 또는 건물 임대로 인해 사업소득 (임대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그 소득금액이 특정 기준을 초과했을 때
그 초과한 금액별로 국민연금 수령 금액이 줄어듭니다.
관련된 정확한 기준 및 계산방법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합리적인 제도인가?

국민연금 감액제도는 일반적인 시선으로 봤을 때
불합리해보이는 제도입니다.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연금을 성실히 납부하고
열심히 일했을 뿐인데, 내가 받아야 할 연금이 
줄어든다면 굉장히 억울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감액제도 유지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는
국민연금의 사회보장적 측면을 내세우는 것인데,
사적연금과는 달리 개인의 일정 생활 수준을 
보장하는 것이 국민연금의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서는 
감액제도를 폐지하자는 의견이 많습니다.
대한민국은 장기적으로 65세 이상 인구는 급격하게 늘어나고
65세 이하의 인구는 급격하게 줄어드는 상황입니다.

이런 인구구조 아래에서 65세 이상의 인구가 
필연적으로 경제활동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국민연금 감액제도 때문에 일을 하지 않거나
해야 할 일을 줄이게 된다면 노동시장은 
장기적으로 큰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국민연금 감액제도 피하기

연기연금을 활용하면 국민연금 감액제도를 피할 수 있습니다.
연기연금이란, 국민연금 수령연령에 도달했을 때
연금을 받지 않고 뒤로 미루는 제도인데,
1년 연기할 때마다 연금이 7.2%씩 증액되며,
최대 5년까지 연기가 가능합니다.

재직자 노령연금 감액기간이 
연금수급 개시 이후 5년까지이기 때문에
연기연금 5년 신청으로 해당 기간을 모두 상쇄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7.2%씩 증액되는 연금은 
5년뒤 36%나 불어나 있을 것입니다.

소득금액이 초과되어 국민연금이 감액되시는 분들은
대부분 생활하기에 부담이 없는 수준이실 겁니다.
따라서 이런 분들이 연기연금을 활용하시면
1석 2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단, 연기연금은 유족 연금 계산 시 단점이 있기 때문에
본인의 건강 및 재정상황을 잘 고려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