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가입시 손해보지 않는 5가지 필수 특약

보험은 한번의 계약을 통해 긴 기간동안 보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가입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보험 가입 시 손해보지 않는 필수 특약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관련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일상생활 배상 책임 특약 상대방의 신체를 다치게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아파트, 빌라 등에서 누수로 인한 피해, 자녀의 재물 손괴에 대한 배상 등 하나의 특약으로도 일상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가지 책임에 대해 보상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하나만 가입하더라도 본인 뿐만 아니라 배우자, 동거 친족까지 보상받을 수 있고, 보험료도 월 1,000원 정도로 매우 저렴합니다. 그리고 가족당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특약을 가입한다면 1억 이상의 손해가 발생했을 때, 한도 이상의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특약을 가입할 때 가족당 한개가 아닌, 가족 구성원 당 한개씩 가입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요즘은 종합보험이나 운전자 보험에 가입할 때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을 끼워 넣을 수 있으니, 추가로 가입할 보험이 있다면 꼭 특약을 넣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질병 후유장해 특약 앞서 설명한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이 타인의 신체 및 재물 손괴에 대해 종합적으로 보장한다면 '인체'에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과 비슷한 결의 특약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질병 후유장애 특약입니다. 이 특약 하나로 보험사에서 나누어 놓은 신체 13부위에 골고루 보장이 가능합니다. 신체 부위에서 일반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팔, 다리, 목, 허리 등 이외에도 몸 속 장기나, 신경 및 정신행동 까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질병 후유장해 특약은 범용성이 큰 특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 주의할 점은 보장 범위가 넓어서 50대 이후 고 연령자 가입 시 가입 한도가 낮고, 병력이 있다면 가입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80세, 90세, 100세 등 만기별로 보험료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효율적인 보험 가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연...

여름철 에어컨 전기요금 절약하는 방법

여름철 에어컨은 없어선 안될 필수 가전입니다. 그럼에도 에어컨을 켜기 전 한번 더 생각하게 되는 이유는 비싼 전기요금 때문입니다. 오늘은 여름철 시원하게 에어컨을 활용하면서도 전기요금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실외기 열 차단

에어컨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실외기를 뜨겁지 않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실외기가 뜨거워지면 전력 소모량이 커지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실외기 주변에 바람이 잘 통하게 하고, 햇빛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실외기를 베란다 바깥쪽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바람이 잘 통하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데, 햇빛으로부터 받는 직사광선이 실외기를 뜨겁게 하고, 전기요금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실외기가 뜨거워지는 것을 막기 위한 간단한 방법은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그늘(차광막)을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아파트 단지 내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스티로폼 박스의 뚜껑을 실외기 위에 고정시키거나, 은색 돗자리로 실외기 윗부분을 감싸주는 방식으로 쉽게 차광막을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단, 가연성 소재는 피해야 합니다.)

에어컨-차광막



또한 에어컨을 작동시키기 전, 분무기를 이용하여 차가운 물을 실외기 위에 뿌려서 식힌 후, 작동시키면 에너지 효율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

2. 정속형 / 인버터형에 따른 적절한 가동방식
에어컨 종류에 따라 전기세를 절약하는 방식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을 무조건 꺼야 전기세가 절약되는 것으로 알고 계시지만, 이에 해당하는 에어컨은 '정속형 에어컨'으로, 2010년까지 많이 사용되던 방식의 에어컨입니다.

정속형 에어컨은 내가 원하는 실내 온도에 도달했을 때 작동을 멈추고, 다시 더워질 즈음 작동시키는 것이 계속 작동시킬때보다 전기세를 최대 70% 절약이 가능합니다.

반면 인버터형 에어컨은 현재 대부분 사용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실내온도에 도달하더라도 계속 작동시키는 것이 더 전기요금이 절약됩니다. 

3. 에어컨을 제습기와 함께 작동시키기

제습기


여름철 사람들을 짜증나게 하는 두 가지는 바로 '더위'와 '습도'입니다. 아무리 실내 온도가 낮더라도 습도가 높다면 쾌적하다고 느끼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실내 에어컨을 작동시킬 때 제습기를 함께 작동시키면 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쾌적한 느낌을 받을 수 있고, 그만큼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에어컨과 제습기를 함께 작동시켜야 하는 이유는 에어컨의 제습 모드는 '온도'를 기준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실내 온도가 28도이고, 26도를 희망온도로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실내 온도가 26도로 내려갈 때까지 에어컨의 냉방 및 제습모드가 활성화됩니다. 

이후 설정한 실내 온도에 도달하면, 에어컨은 그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정도의 힘만 사용하면서, 제습효과는 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습기가 높은 실내에서 에어컨을 낮은 온도로 작동시켜도, 분명 추울 정도로 실내 온도가 내려갔음에도 완전히 쾌적하다고 느끼기 어렵습니다.

이때 제습기를 에어컨과 같이 작동시키면, 26~27도, 상대적으로 낮지 않은 실내온도에서도 습기가 줄어들면서 굉장히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제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기준으로 제습기능을 작동시키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