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슈가 음료는 과연 해로울까? 아스파탐 논란 총정리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아스파탐이란?
음식이나 음료에 첨가되어 단맛을 내는 물질을 감미료라고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감미료로는 설탕이 있는데, 설탕은 칼로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고자 발명된 '인공 감미료'가 바로 아스파탐입니다.
아스파탐은 설탕과 같은 양으로 적게는 200배에서 많게는 20,000배까지 단맛을 낼 수 있습니다. 결국 섵탕보다 훨씬 적은 양을 첨가하고도 비슷하거나 같은 단맛을 낼 수 있어서 음료의 칼로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입니다.
아스파탐과 발암물질
제로 음료에 첨가되어 설탕의 역할을 하는 아스파탐은 분명한 발암물질이 맞습니다. 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에서는 아스파탐을 발암물질 2b군으로 분류했습니다. 하지만 아스파탐을 발암물질로 구분하면서도 기준치까지는 먹어도 된다고 명시했는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발암물질을 분류하는 방식을 알아야 합니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여러 물질과 환경적인 요인에 대해 발암 가능성을 평가하여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데, 각각 [1그룹] [2그룹 A] [2그룹 B] [3그룹] 입니다.
위 그룹에서 동물 연구 뿐만 아니라 사람의 몸에서도 발암 가능성이 확실히 입증된 것을 [1그룹]으로 분류합니다. (1군 발암물질) 대표적인 1군 발암물질에는 담배, 술, 헬리코박터균, 햄, 소시지, 베이컨과 같은 가공육등이 포함됩니다.
[2그룹 A]는 발암 추정물질로, 동물에게는 확실하게 발암 가능성이 있지만, 사람의 몸에는 완벽히 발암 가능성이 입증되지 않은 경우입니다. 대표적인 2그룹A 발암물질은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적색육입니다.
아스파탐이 들어가는 [2그룹 B]는 발암 가능 물질로, 2그룹A 보다는 발암 가능성이 낮은 수준입니다. 대표적인 2그룹B 발암물질은 휴대전화 전자파, 가솔린 등입니다.
마지막으로 [3그룹]은 발암물질로 분류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아스파탐 유해성에 대한 진실
일상적으로 우리는 아무런 거리낌 없이 술/담배를 즐겨하고, 소고기 돼지고기 등 적색육을 잘 섭취합니다. 발암 가능성이 확실하게 입증된 것들을 섭취/사용하면서도 큰 문제가 없는 이유는 해당 물질을 얼마나 많이 섭취하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듯, 가공육같은 경우 우리가 일상적으로 먹는 용량으로는 거의 문제를 일으킬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2그룹B 군으로 분류되어있는 아스파탐은 얼마나 많이 섭취해야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일까요?
국제암연구소에서는 체중 1kg당 40mg을 하루 섭취용량으로 권고했습니다. 즉, 60kg의 사람이 하루에 아스파탐을 2400mg까지 섭취해도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제로콜라 377mL 한 캔에 아스파탐은 87mg 들어있습니다. 즉 하루에 27캔 까지는 섭취해도 큰 문제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결론
하루에 제로콜라를 37캔 넘게 섭취해야 문제가 발생한다면, 정말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아스파탐 발암물질 논란이 확산된 이유 중 하나는 설탕이 들어가지 않았다는 이유로 너무 과도하게, 물 대신 섭취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기 때문입니다.
확실히 제로음료는 물이 아닌 '음료수'입니다. 치킨, 피자 등을 먹을 때 일반 탄산음료 대신 제로 음료를 섭취하는 것은 굉장히 좋습니다. 하지만 물 대신 섭취해도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최근 다양한 언론 및 매체를 통해 제로음료-아스파탐의 발암물질 관련 내용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오늘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공포감을 심는 과대 정보에휘둘리지 마시고, 평소와 같은 현명한 소비를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