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가입시 손해보지 않는 5가지 필수 특약

보험은 한번의 계약을 통해 긴 기간동안 보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가입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보험 가입 시 손해보지 않는 필수 특약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관련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일상생활 배상 책임 특약 상대방의 신체를 다치게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아파트, 빌라 등에서 누수로 인한 피해, 자녀의 재물 손괴에 대한 배상 등 하나의 특약으로도 일상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가지 책임에 대해 보상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하나만 가입하더라도 본인 뿐만 아니라 배우자, 동거 친족까지 보상받을 수 있고, 보험료도 월 1,000원 정도로 매우 저렴합니다. 그리고 가족당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특약을 가입한다면 1억 이상의 손해가 발생했을 때, 한도 이상의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해당 특약을 가입할 때 가족당 한개가 아닌, 가족 구성원 당 한개씩 가입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요즘은 종합보험이나 운전자 보험에 가입할 때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을 끼워 넣을 수 있으니, 추가로 가입할 보험이 있다면 꼭 특약을 넣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질병 후유장해 특약 앞서 설명한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이 타인의 신체 및 재물 손괴에 대해 종합적으로 보장한다면 '인체'에도 일상생활 배상책임 특약과 비슷한 결의 특약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질병 후유장애 특약입니다. 이 특약 하나로 보험사에서 나누어 놓은 신체 13부위에 골고루 보장이 가능합니다. 신체 부위에서 일반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팔, 다리, 목, 허리 등 이외에도 몸 속 장기나, 신경 및 정신행동 까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질병 후유장해 특약은 범용성이 큰 특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 주의할 점은 보장 범위가 넓어서 50대 이후 고 연령자 가입 시 가입 한도가 낮고, 병력이 있다면 가입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80세, 90세, 100세 등 만기별로 보험료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효율적인 보험 가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연...

제로 슈가 음료는 과연 해로울까? 아스파탐 논란 총정리

 몇년 전부터 제로 슈가 음료들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제로 음료에 들어가는 아스파탐의 발암물질 논란이 확산되면서 많은 소비자들이 걱정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제로 슈가 음료와 아스파탐 관련된 논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스파탐-발암물질


아스파탐이란?

음식이나 음료에 첨가되어 단맛을 내는 물질을 감미료라고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감미료로는 설탕이 있는데, 설탕은 칼로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고자 발명된 '인공 감미료'가 바로 아스파탐입니다.

아스파탐은 설탕과 같은 양으로 적게는 200배에서 많게는 20,000배까지 단맛을 낼 수 있습니다. 결국 섵탕보다 훨씬 적은 양을 첨가하고도 비슷하거나 같은 단맛을 낼 수 있어서 음료의 칼로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입니다.


아스파탐과 발암물질

제로 음료에 첨가되어 설탕의 역할을 하는 아스파탐은 분명한 발암물질이 맞습니다. 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에서는 아스파탐을 발암물질 2b군으로 분류했습니다. 하지만 아스파탐을 발암물질로 구분하면서도 기준치까지는 먹어도 된다고 명시했는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발암물질을 분류하는 방식을 알아야 합니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여러 물질과 환경적인 요인에 대해 발암 가능성을 평가하여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데, 각각 [1그룹] [2그룹 A] [2그룹 B] [3그룹] 입니다.

위 그룹에서 동물 연구 뿐만 아니라 사람의 몸에서도 발암 가능성이 확실히 입증된 것을 [1그룹]으로 분류합니다. (1군 발암물질) 대표적인 1군 발암물질에는 담배, 술, 헬리코박터균, 햄, 소시지, 베이컨과 같은 가공육등이 포함됩니다.

[2그룹 A]는 발암 추정물질로, 동물에게는 확실하게 발암 가능성이 있지만, 사람의 몸에는 완벽히 발암 가능성이 입증되지 않은 경우입니다. 대표적인 2그룹A 발암물질은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적색육입니다.

아스파탐이 들어가는 [2그룹 B]는 발암 가능 물질로, 2그룹A 보다는 발암 가능성이 낮은 수준입니다. 대표적인 2그룹B 발암물질은 휴대전화 전자파, 가솔린 등입니다.

마지막으로 [3그룹]은 발암물질로 분류할 수 없는 경우입니다.


아스파탐 유해성에 대한 진실

일상적으로 우리는 아무런 거리낌 없이 술/담배를 즐겨하고, 소고기 돼지고기 등 적색육을 잘 섭취합니다. 발암 가능성이 확실하게 입증된 것들을 섭취/사용하면서도 큰 문제가 없는 이유는 해당 물질을 얼마나 많이 섭취하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듯, 가공육같은 경우 우리가 일상적으로 먹는 용량으로는 거의 문제를 일으킬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2그룹B 군으로 분류되어있는 아스파탐은 얼마나 많이 섭취해야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일까요?

국제암연구소에서는 체중 1kg당 40mg을 하루 섭취용량으로 권고했습니다. 즉, 60kg의 사람이 하루에 아스파탐을 2400mg까지 섭취해도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제로콜라 377mL 한 캔에 아스파탐은 87mg 들어있습니다. 즉 하루에 27캔 까지는 섭취해도 큰 문제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결론

하루에 제로콜라를 37캔 넘게 섭취해야 문제가 발생한다면, 정말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아스파탐 발암물질 논란이 확산된 이유 중 하나는 설탕이 들어가지 않았다는 이유로 너무 과도하게, 물 대신 섭취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기 때문입니다.

확실히 제로음료는 물이 아닌 '음료수'입니다. 치킨, 피자 등을 먹을 때 일반 탄산음료 대신 제로 음료를 섭취하는 것은 굉장히 좋습니다. 하지만 물 대신 섭취해도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최근 다양한 언론 및 매체를 통해 제로음료-아스파탐의 발암물질 관련 내용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오늘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공포감을 심는 과대 정보에휘둘리지 마시고, 평소와 같은 현명한 소비를 하시기 바라겠습니다.